
한글 맞춤법은 기본적으로 ‘문자 언어’의 규칙을 바탕으로 한 표기 체계이다. 우리가 말하는 내용을 문자로 옮길 때, 그 문장에 적용되는 문법적 규칙과 철자 배열이 맞춤법의 본질이다. 그러나 이것이 반드시 소리를 통해 표현되어야만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소리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시각 언어, 즉 ‘수어(수화)’에서도 맞춤법은 간접적으로나마 그 기능과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수어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주요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손동작과 표정, 몸의 움직임을 통해 정보를 전달한다. 언뜻 보면 맞춤법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듯 보이지만, 수어 통역이 글자나 자막, 혹은 문장 구조를 다룰 때는 반드시 맞춤법 규칙을 고려해야 하는 지점들이 발생한다. 특히 방송 수어 통역사나 교육 수어 통역사는 발화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