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는 소리를 바탕으로 하는 언어이면서 동시에 글자를 통해 그 소리를 기록한다. 언어가 세대를 거쳐 이어지기 위해서는 말소리와 글자 사이의 일관된 약속이 필요하다. 한글 맞춤법 제10항과 표준발음법 제20항은 바로 이러한 약속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 제10항은 이른바 두음법칙이라 불리는 규정을 통해 단어 첫머리에서 특정 자음을 표기할 때의 원칙을 제시한다. 제20항은 발음 측면에서 두음법칙이 실제 소리로 구현되는 방식을 정리한다. 이 두 규정은 서로 별개의 법령으로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맞물려 작동하며 한국어의 표준성을 유지한다. 한쪽은 기록의 질서를 담당하고, 다른 한쪽은 발음의 질서를 지킨다. 이 글에서는 제10항과 제20항의 원문과 그 의미를 살펴본 뒤, 실제 생활 속에서 어떻게 적용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