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코 사용하는 우리말 속에도 다양한 규칙들이 존재한다. 맞춤법이란 그 규칙을 지키기 위한 기본 틀이다. 대부분은 학교에서 맞춤법에 대해 배운 후 별다른 관심 없이 언어를 사용하지만, 정확한 문장은 생각보다 쉽게 쓰이지 않는다. 특히 한글 맞춤법 제1항은 전체 규정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기준임에도 불구하고, 그 의미가 모호하게 전달되어 잘못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한글 맞춤법 제1항은 다음과 같이 시작된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문장은 짧지만, 이 안에는 ‘소리’, ‘표준어’, ‘어법’이라는 세 가지 요소가 얽혀 있다. 겉보기엔 단순한 규칙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 적용되는 상황을 들여다보면 상당한 복합성을 지닌다. 예를 들어, ‘있다’라는 단어는..